본문 바로가기
경제 · 재테크/실전 주식투자

공모주 중복 청약 하는 이유는 뭘까

by 홍도비 2021. 3. 1.
반응형

 

SK바이오사이언스 상장과 함께 공모주 청약이 다시금 탄력을 받고 있는데요. 그와 동시에 공모주 중복 청약에 대한 관심도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공모주 중복 청약>이란 여러 곳의 주간사 증권계좌를 통해서 공모주 청약을 중복으로 신청하는 걸 말하는데요. 그렇다면 왜 굳이 이런 공모주 중복 청약을 하는 건지, 또 안 하는 사람은 왜 안 하는 건지, 그 이유들을 제가 한 번에 모아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모주 중복 청약을 하는 이유는?

1. 여유자금이 충분하다면 더 많은 주식을 배정받을 수 있다.

주간사에 대해서는 다들 알고 계실 겁니다. 공모를 진행하는 주식의 청약 과정 일체를 전담하는 금융사를 말하는데요.

 

보통 1~2개의 주간사를 끼고 공모주 청약을 진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가끔씩 IPO 대어라고 불리는 거물급 회사가 등장하게 되면 최대 5~6개의 주관사를 끼고 거래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이번 3월에 상장될 'SK 바이오사이언스'가 대표적인 케이스라고 할 수 있죠. 아래 그림을 보면 SK 바이오사이언스는 총 6개의 주간사를 통해서 청약을 진행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6곳 중 1군데의 증권계좌만 있어도 공모주 청약에 참여할 수 있는 겁니다.

 

SK바이오사이언스 청약 주관사 정보(6곳)

 

그렇지만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은 따로 있습니다. 바로 각 주간사별로 '배정 물량'과 '청약 한도'가 다르다는 점입니다.

 

즉 1곳에서만 청약을 신청한다면 여러 주간사 계좌를 이용해 중복 청약했을 때보다 받을 수 있는 '최대 주식 수'가 적을 수 밖에 없다는 얘기죠. 그래서 여유자금이 많은 분들은 보통 2~3군데를 동시에 청약하는 식으로 최대한 많은 주식을 배정받으려고 합니다.

 

가령 NH투자증권에서 청약을 진행한다고 하면 최대 청약 가능한 주식 수는 100,000주입니다. 만약 경쟁률이 1000:1 정도가 나온다면 최대로 받을 수 있는 주식은 100주(=100,000주 / 1000)가 되겠죠.

 

하지만 만약 내가 그것보다 더 많은 돈을 들여서 주식을 더 배정받고 싶다면? 한국투자증권이나 미래에셋대우 증권계좌를 통해서 중복 청약을 신청하면 되는 겁니다.

 

  • 단일 청약 시 : 최대 100주 배정 가능 (NH투자증권 청약 시)
  • 중복 청약 시 : 최대 315주 배정 가능 (모든 주간사 청약 시) = 100+52+74+54+17+17

물론 실제로는 6곳에서 최대 한도까지 청약을 진행할 분들은 아마 없겠죠. 그렇지만 이론 상으로는 더 많은 주식을 배정받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건 분명한 사실입니다.

 

2. 균등배분방식 도입으로 최소 물량 확보가 유리하다.

중복 청약이 좋은 또 한 가지 이유를 들자면, 최근에 도입된 <균등배분방식> 때문입니다.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말 그대로 돈이 많은 사람이 더 많은 주식을 배정받는 '머니 게임'이었다면, 이 균등배분방식 도입으로 적은 증거금으로도 최소 1주 이상을 배정받기가 수월해졌습니다.

 

따라서 여러 군데의 증권 계좌를 활용해서 청약 신청을 하게 되면 그만큼 확보할 수 있는 최소 물량 자체도 커지게 된다는 겁니다. 이렇게만 얘기하면 이해가 어려우니 예시를 통해서 더 자세히 설명해보도록 할게요!


SK바이오팜 사례를 한번 들어볼까요? SK바이오팜의 최종 경쟁률은 323:1에 달했는데요. 이 말은 곧 323주 이상을 신청해야 1주를 배정받을 수 있었다는 얘기입니다. 당시 SK바이오팜의 공모가가 49,000원이었으니 1주를 배정받기 위한 청약 증거금을 계산해보면.. 무려 800만 원에 가까운 돈이 필요했던 거죠.

 

  • [기존 방식] 청약 증거금 = 800만 원 = 49,000원(공모가) X 323주(청약 수량) X 50%(증거 비율)

이번에는 균등배분방식을 한번 살펴볼까요? 일반투자자에게 배정된 물량이 총 40만 주라고 하고, 이 중 50%인 20만 주는 균등배분방식으로 배정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청약 신청에 총 10만 명이 몰렸다면 개인당 2주(20만 주/10만 명)씩은 배정받을 수 있는 겁니다.

 

물론 주간사에서 정해놓은 최소 청약 수량(보통 10주)을 신청해야만 하기 때문에 10주에 대한 증거금은 내야겠죠. 이때 필요한 증거금은 245,000원뿐입니다. 

 

  • [균등배분] 청약 증거금 = 245,000원 = 49,000원(공모가) X 10주(최소 청약 수량) X 50%(증거 비율)

800만 원에 가까웠던 청약 증거금을 내고도 1주밖에 못 받았던 이전에 비하면 훨씬 적은 금액을 내고도 2주를 챙길 수 있게 되었단 얘기입니다. 따라서 굳이 1개의 주간사(대표주간사)를 고집할 게 아니라, 가능하다면 여러 군데에 중복으로 청약을 신청해서 더 많은 주식을 배정받는 게 이득이라고 할 수 있겠죠.

 

 

공모주 중복 청약을 망설이는 이유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모주 중복 청약을 망설이시는 분들이 꽤 있을 것 같은데요. 아마 이런 이유들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1. 여러 개의 증권사 계좌를 개설하기 귀찮다.

여러 가지 이유 중 첫 번째는 여러 증권사의 계좌를 개설하는 과정도 꽤 오래 걸리고 관리도 귀찮기 때문입니다.

 

증권계좌도 통장과 같기 때문에 단 기간에 여러 개를 개설하는 게 제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최근에는 비대면 개설이 활성화되면서 어지간하면 통장 개설에 큰 어려움은 없지만, 귀찮은 건 사실이죠.

 

그렇지만 앞으로 계속해서 공모주 청약에 참여하려는 분이라면 규모가 크고 IPO를 많이 진행하는 증권사의 계좌는 미리 개설해놓는 게 장기적으로 더 좋다고 봅니다.

 

2. 주식 상장 후 거래하기가 불편하다.

2번째 이유는 상장 후 주식 거래(처분)가 불편할 수 있다는 겁니다. 가령 SK바이오사이언스 주식을 주관사 6곳에서 모두 신청했다고 해볼게요. 그만큼 배정을 많이 받을 순 있겠지만, 동시에 처분할 때도 각각의 증권 앱에 들어가서 매도 주문을 넣어야 합니다.

 

애초에 그만큼 많은 수량을 욕심내는 분들도 많지 않을 거고, 적당한 타이밍에 잘 매도하려면 오히려 1곳에 모아 두고 거래를 하는 게 편하겠죠.. 가볍게 10주 이내로 거래하신다면 굳이 중복 청약이 필요할까요? 한번 잘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3. 올해 상반기 내로 공모주 중복 청약 금지된다.

마지막으로 올해 상반기 내로 공모주 중복 청약이 금지될 가능성이 높다는 걸 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균등배분방식'의 도입으로 개인투자자들이 주식을 배정받기가 더 용이해진 만큼, 반대로 중복 수혜가 예상되는 복수 증권사 중복 청약을 금지하겠다는 게 금융당국의 입장입니다.

 

그렇다고 친다면 어차피 여러 개의 증권계좌를 가지고 있어도 별 이득은 없는 거 아니냐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각 공모주 별로 주간사가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공모주 청약에 참여할 수 있다는 메리트는 여전합니다.

 

 

그래서 공모주 중복 청약 할까? 말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공모주 중복 청약은 해보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래 봤자 현실적으로 2~3개 증권사의 계좌를 주로 이용할 가능성이 높고, 공모주마다 주간사가 다르게 정해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1곳만 고집할 필요는 없는 것 같네요.

 

더욱이 예정대로라면 올해 상반기 내로 사라질 텐데 있을 때라도 한번 시도해보는 게 낫지 않을까요? 물론 이건 제 주관적인 의견이니까, 판단은 여러분이 알아서 하시면 됩니다.


여기까지 공모주 중복 청약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봤는데요. 저도 공모주 청약을 1~2번 밖에 참여해보지 못한 주린이로서 부족한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추가로 궁금한 사항이나 질문 등은 댓글로 달아주시면 최대한 답변드릴 수 있도록 할게요~ 그럼 끝!!

 

추천글 모음

반응형